임대가격지수란?
임차인이 일정공간을 점유하기 위해 지불하는 총비용의 두 시점 간의 변화 추정을 위해 기준시점 대비 표본 건물 기준층의 시장임대료를 이용하여 산정.
산출방법
- 표본건물 기준층의 임대료 총액을 듀토지수로산정
- 오피스 기준층 = (최고층 + 3층)/2 (소수점일 때는 올림)
- 매장용 기준층 = 1층 (1층이 불가할 경우 2층)
- 듀토지수: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산술평균가격 비율로, 이는 두 시점별 총가격의 비율과 같고 두 시점 간 가격비율의 가중산술평균이기도 함. 이때 가중치는 기준시점의 가격임.
정의가 선뜻 와닿진 않겠지만 단순히 생각해서 기준을 100으로 설정했을 때 임대료 변화가 얼마나 있느냐로 생각하면 편하다. 서울시 주요 상권별 임대가격지수를 보면 아래와 같다.
해당 임대지수는 소규모 상가의 임대지수이며 21년 4분기를 기준 (100)으로 했을 때 임대료 변화를 보여준다. 참고로 소규모 상권이란 일반 2층 이하, 연면적 330m2 이하를 말한다. 연면적의 정의 또한 알고 있으면 좋은데 연면적이란 대지에 들어선 건축물의 바닥면적을 모두 합한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여러 층으로 되어 있다면 각 층마다 바닥 면적을 모두 더한 면적을 말한다.
임대지수를 보면 임대료가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압구정으로 21년 4분기 대비 무려 16%나 증가했다. 최근 압구정 상권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뉴스가 종종 나오고 있는데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가장 낮은 곳은 망원역으로 오히려 -2%가량 감소했다. 서울은 전반적으로 소폭 증가했으며 압구정을 제외하고는 대략 1~3%의 상승을 보여줬다.
지역별 증가 수치가 1~3%라면 개별로는 10% 이상 오른 곳도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가격이 오르기 시작하면 앞으로도 오를 거라는 기대감이 형성되므로 실제 임대료는 더 높게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로수길 공실은 처참한 수준 (2) | 2024.01.04 |
---|---|
서울시 아파트 세대수 TOP30 - 23년 11월 통계 (0) | 2023.11.28 |
서울시 구별 세대수 - 2023.10월 통계 (0) | 2023.11.14 |
2022년 서울 구별 인구 밀도 (0) | 2023.11.13 |
골목길 자본론 (0) | 202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