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길 공실 상황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작년 초만 해도 가로수길에 공실이 3~4개 정도였다면 지금은 20개가 넘는다. 공실률이 점점 높아지면서 가로수길의 분위기 자체도 다운되고 있다. 이미 2~3년 전부터 가로수길을 벗어나 좌우 골목길 상권이 활성화되는 과정이 있었고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문제는 가로수길의 높은 공실률이 그 주변으로 번져나갈 수 있다.

 

압구정 로데오 상권이 다시 과거의 영광을 되찾아가는 과정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가로수길 상권이 영향을 받는 모습이다. 이전에는 강남 일대에 가장 핫한 상권으로 가로수길을 꼽았지만 지금은 웬만한 플래그쉽 스토어를 생각한다면 가로수길보다 압구정 로데오를 먼저 떠올린다.

 

가로수길의 공실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작년 12월 말, 가로수길을 쭉 걸어 다니며 공실 상가를 촬영해 봤다.

 

 

신축 건물들은 통으로 공실은 곳도 꽤 있었다.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붐이 오면서 그때 당시 수익률로 신축 건물을 올린 곳인데 급격한 금리 상승과 경기 악화로 그 당시 수익률로는 임대를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높은 임대료는 당연히 공실로 이어지고 최근 가로수길이 침체되면서 더 이상 웃돈을 주고 상가를 임대할 임차인을 구하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문제는 단기간에 이런 현상이 해결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여전히 국내 부동산 경기는 좋지 못하고 인플레이션에 따른 전반적인 비용 상승으로 인해 소비재 판매나 서비스업의 마진이 축소되어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기 어렵다. 금리 역시 단기간에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 게다가 가로수길이 죽은 상권이 되어가고 있는 인식이 팽배해지면 임차인들도 가로수길을 피하게 되고 그러면 더욱 공실이 늘어나 상권이 위축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아니, 이미 그런 악순환은 시작되었다고 보는 게 맞겠다.

 

 

소위 음식점에는 오픈빨이 있다. 가게를 열고 처음 몇 달간 장사가 잘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길게는 3개월 짧게는 한 달 정도 오픈빨 매출이 나온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

 

 

기본적으로 우리는 아무리 맛있는 음식이더라도 연속해서 몇끼 동안 동일한 메뉴를 먹지 않는다. 오늘 된장찌개를 먹었다면 그다음 된장찌개를 먹는 날은 다음 주 어느 날이 될 확률이 높다. 어느 한 메뉴를 선택하고 만족감이 아무리 높다 해도 다음 재방문까지 일정 기간 텀이 있기 마련이다.

 

새로 음식점을 오픈하면 매장 주변 사람들이 호기심에 먹으러 온다. 새로 오는 사람들을 모두 해당 메뉴를 처음 먹는 사람들이므로 해당 지역의 잠재 고객 수만큼 단기간에 고객들이 몰리게 된다. 문제는 음식이 맛있어도 재방문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초기에 쏠렸던 고객들이 다음 방문을 하는 기간 동안 매출이 하락하게 된다.

 

 

 

오픈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방문 고객들이 다시 유입되는 기간을 신규 고객 유치를 통해 메꿀 수 있다. 아니면 내 메뉴가 하루에 한 번씩 먹어도 괜찮은 메뉴여야 한다. 식사류의 경우 이런 메뉴가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커피의 경우는 다르다. 보통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적게는 하루 한잔, 많게는 세잔까지 마시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처음 방문했던 카페의 커피가 매우 마음에 들었다면 바로 다음날도 방문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오픈빨이 끝난 후에 매출에 점진적으로 오르지 않는 경우다. 처음 매장을 방문했던 고객들의 재방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맛이 문제일 수도 있고 그렇게 자주 즐기지 않는 메뉴이기에 깜빡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빨리 문제를 파악해서 재방문 횟수를 늘려야 한다. 꾸준히 재방문이 이루어지는 단골 고객들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매출 곡선을 우상향으로 만들기가 매우 어렵다.

'프랜차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랜차이즈 - 요미우돈교자  (3) 2023.11.29
프랜차이즈 - 크레이저 커피  (0) 2023.10.16
프랜차이즈 시선 살펴보기  (0) 2023.08.10

 

서울 이태원에 위치한 소와나 한남.

 

한우 오마카세 컨셉으로 메뉴는 5종 세트와 7종 세트 두 가지가 있다. 한우 1++를 사용하며 매일 세분화 작업을 하여 랜덤으로 부위를 제공한다. 5종 세트는 49,000원이며 7종 세트는 69,000원이다. 1인 1 음료를 반드시 주문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저렴한 코카콜라를 주문한다면 인당 5만 원 이상이다. 5종과 7종 세트 모두 기본적으로 새우구이, 그릴드 야채, 계란덮밥, 가래떡 구이가 나오며 7종은 소고기 2 부위가 더 추가된다.

 

실내는 그리 넓은 편은 아니다. 자리는 바 형식으로 되어 있고 비좁은 편이라 다닥다닥 붙어 앉아야 한다. 인당 5만 원 이상 지불하는 걸 감안하면 그리 유쾌한 자리는 아니다.

 

 

쉐프 두 분이서 화로에 고기를 구워 인당 두 점씩 서빙해 주신다. 고기의 양은 적은 편으로 5종 = 5점인데 정확한 그램 수를 기재해 놓고 있지 않아 수치적으로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성인 남자 기준으로 여기서 먹고 나와서 라면 하나 바로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양이다.

 

 

 

맛도 그리 특별할 게 없다. 내가 집에서 굽는 거나 거기서 셰프가 구워주는 거나 특별한 맛 차이를 느끼기 힘들다. 부위별로 맛의 차이는 느낄 수 있지만 그렇다고 새로운 소고기 맛을 기대하진 말자. 위의 구워진 소고기 한 점을 보면 알겠지만 심지어 태우기까지 했다. 먹었을 때 입 안에서 탄 맛과 고기 맛이 짬뽕되어 기분이 썩 좋진 않았다.

 

 

 

 

계란덮밥과 가래떡 구이는 서빙하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이 역시 맛은 평범한 편.

 

 

총평하자면,

  • 비싼 가격
  • 평범한 맛
  • 유쾌하지 않은 접객 서비스
  • 소고기 오마카세인데 고기를 잘 굽지 못함

 

두 번은 가지 않을 곳이다.

+ Recent posts